다수의 기독교 사회에서 팽배해 있는 일반적인 시각은 성경이 모든 의문에 대한 해답을 가지고 있다는 시각과 그리고 누군가가 삶에서 일어날 수 있는 어떤 상황에 처했을 때, 취할 행동에 대한 명확한 가르침을 가질 수 있다는 시각이 있습니다. 이러한 주장을 가진 누군가는 사형제도를 변호하는 것에 쉽사리 성경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이것의 문제점은 누군가가 성경에서 부분적인 문구를 선택해서 신조의 수준으로 끌어 올리고, 그리고 그것을 전체 가르침의 구조를 세울 수 있습니다. 과거의 한 시기에 우리도 같은 개념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성경구절에 대한 다른 이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전체적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구약의 많은 일들이 예수님의 가르침과 그리고 신약의 빛 속에서 읽을 때야 만 정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할 때, 모든 성경의 문장들이 같은 비중을 다루고 있지 않다는 점이 확실히 명백해지기 시작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구원에 필요한 것들과 결정적인 것들과의 차이점이나 특정한 시기의 범위나 그리고 어떤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을 위한 단지 특정한 역사적 상황에 적절한 서술문 사이의 구별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성경을 통해 이런저런 상황에 대해 어떠한 말씀을 주셨다거나 또는 성경에 모든 것이 담겨 있으므로 동일한 정당성, 우선권,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믿는 집단이 아닙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성경이 골동품 서점에 비치된 단순한 책이 아니라는 것도 분명합니다. 오히려, 예전에도 의로운 것이었고 오늘날에도 의로운 것입니다. 그것은 우리 시대를 위한 책이며, 21세기의 기독교인들로서의 삶을 위한 책이기도 합니다. 성경을 읽는 것은 가치 있고 보람 있는 일입니다.
사도장님의 대예배에서 나온 사색의 양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