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날짜는 12월 25일로 그 지위를 잃었습니다. 1월 6일은 그 자체로 고유한 맥락에 속하기 때문에 사실 왕과도 그다지 관련이 없습니다.
주현절은 많은 교회에서 1월 6일에 기념합니다. 주현절은 “나타남” 또는 “현현”을 의미하는 그리스어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이 나타나심을 의미합니다.
4세기 중반까지는 1월 6일에 예수의 탄생을 기념했지만, 이후에는 이 날짜가 12월 25일로 대체되었습니다. 기독교 이전 로마에서는 이 날에 ‘무적의 태양’을 뜻하는 솔 인빅투스 축제를 기념했습니다.
과거로의 회귀
이후 주현절 축제는 서방 교회에서 배경으로 사라졌고, 동방 교회, 즉 정교회에서는 1월 6일(또는 7일)이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념하는 날로 남았습니다. 가톨릭 사도 교회와 초기 새 사도 교회에서는 주현절 또는 이 날짜 직후에 신성한 예배를 드렸습니다. 이는 가톨릭 교회 및 대부분의 개신교 교회와 비슷한 관행입니다.
몇 년 전부터 새 사도교회는 주현절 절기를 다시 예배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주현절은 하나님의 성육신인 크리스마스 사건을 묵상하는 기회가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새 사도 교회 연도의 크리스마스 시즌이 끝나는 것을 기념하는 축제가 되기도 합니다.
왜 왕들이었을까요?
현현절 축제의 대중적인 이름은 “주현절”입니다. 하지만 이는 마태복음 2장 1절부터 12절에 묘사된 동방 박사들이 아기 예수를 방문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그 현자들은 사실 점성가, 즉 동방 박사였습니다. 이 성경 이야기의 전설적인 버전에서는 동방 박사들이 왕으로 변신하는데, 이는 그들의 방문의 의미를 더 강조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그 외에도 이방인의 왕들도 경의를 표하기 위해 찾아올 유다의 왕, 즉 메시아의 이미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편 72편을 참조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스페인의 왕들과 섬 나라의 왕들이 그에게 예물을 가져 오게 해주시고, 아라비아와 에티오피아의 왕들이 조공을 바치게 해주십시오. 모든 왕이 그 앞에 엎드리게 하시고, 모든 백성이 그를 섬기게 해주십시오.(10절과 11절).
이 세 왕의 수는 동방 박사들이 신성한 아이에게 가져온 선물, 즉 황금, 유향, 몰약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이 선물들은 왕에게 어울리는 귀중하고 가치 있는 것들이며, 따라서 아이에 대한 왕과 신성한 지위를 나타냅니다.
빛이신 예수님
동방 박사들의 이야기는 예수님의 본질과 사명을 언급하는 몇 가지 필수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주현절 축제에서 표현됩니다.
빛은 크리스마스 메시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누가복음에 나오는 크리스마스 이야기에서는 들판의 목자들 주위에 “주님의 영광이 비쳤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눅 2: 9). 빛은 하나님의 임재를 나타내는 표징입니다. 예를 들어, 동방박사들이 따라간 별은 하나님께서 인류에게 나타나신 장소로 그들을 인도합니다.
동방박사들은 유대인이 아닙니다. 그들은 아이를 찾기 위해 출발한 이방인들이며, 유대에 도착한 후 “유대인의 왕으로 나신 그분은 어디에 계십니까?”라고 묻습니다. 우리는 동방에서 그분의 별을 보고 경배(또는: 경의를 표하기 위해)하러 왔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이 동방박사들은 하나님의 아들이 이스라엘 백성뿐만 아니라 모든 민족을 위해 인간이 되셨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줍니다. 유대인이 아닌 전통을 가진 사람들이 “유대인의 왕”에 대한 헌신을 보여 주었다는 사실은 훗날 이방인을 향한 기독교 선교와 많은 이방인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개종하는 것에 대한 초기 언급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신성으로 가득 찬
별은 동방박사들을 예수님께로 인도합니다. 그들은 집으로 들어가서 마리아와 아이를 발견합니다. 동방박사들이 아이에게 보인 행동은 상징적입니다: 그들은 “엎드려서 경배하였다”(마태복음 2: 11)고 했습니다.
유대적 맥락에서는 오직 하나님만이 경배할 가치가 있습니다. 예수님 앞에 무릎을 꿇고 기도한 동방 박사들의 경배는 하나님이 아이 안에 임재 하신다는 깨달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아기 예수님은 인간 예수님뿐만 아니라 신성으로 충만하신 참 인간이자 참 하나님이십니다.
주현절을 기념할 때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독생자 […] 빛 중의 빛, 바로 하나님 중의 바로 하나님”(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임을 고백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세상에 하나님의 현존이시며 모든 민족이 그분을 따르라고 부르십니다.
Photo: Donald – stock.adobe.com
2025.01.06.
Author: Dr. Reinhard Kief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