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C Korea

새사도교회 한국

  • 이달의 실천말씀
  • 새로운 소식
  • 새 사도 교회는
    • 환영합니다
    • 새 사도 교회는?
    • 자화상
    • 전망과 목표
    • 새사도교회의 역사
  • 거룩한 예배
    • 대 예배
    • 세가지 성례전
  • 사도 직분이란?
  • 새사도 교회의 교리
  • 신앙신조
  • 우리와 연결하기
  • 직분의 구조, 임무
  • 한국 지역별 교회
  • 헌신, 재정, 중립
  • 직분의 개념 시리즈(완)
  • 목자적 보살핌 시리즈(준비중)
  • 성례전 시리즈(준비중)

사랑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2017년 5월의 소식

2017년 5월 20일 by nac korea media team

생동감, 성급함, 경솔함, 무례함. 베드로의 대표 성미입니다. 이번에는 베드로가 자기 자신을 깊은 나락으로 파묻어 버렸습니다. 왜 예수님께서는 후에 베드로를 그분의 양 떼를 이끄는 가장 높은 목자로 만들었을까요?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라는 질문에 대한 몇 가지 관측이 있습니다.

처음에 그곳에는 몇 가지 흥미로운 일들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예수님께서 폭풍 속에서 나타나셨을 때, 베드로가 자기 자신도 물 위를 걷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몇 걸음을 걷자마자 베드로의 신앙의 용기가 떠나갔습니다. 베드로가 물에 빠지기 시작하자, 예수님께서는 손을 뻗어 베드로를 구해주셨습니다.

그러나 상황은 겟세마네 동산에서 점점 무거워지기 시작했습니다. 예수님께서 체포되신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분께서 구원을 위해 꼭 취해야만 하는 길에 대해, 베드로에게 얼마나 자주 말씀하셨습니까? 그러나 베드로는 무기의 힘으로 대항했습니다. 심지어는 그 과정에서 한 인간에게 심각한 상처를 입히기도 했습니다. 베드로를 차분함으로 구원한 것 역시 예수님의 손이었습니다.

실패의 정점

그러나 베드로는 자신의 최대 실수에 도달하게 됩니다. 죽음을 불사하고 예수님을 따를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막힘없이 성토한 지 얼마 안 된 때였습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베드로는 대제사장의 관저 안쪽까지 주님을 따르는 것조차도 해내지 못했습니다. 심지어는 종과 경비병들과 함께 서서 모닥불을 쬐고 있었습니다.

예수님께서 한 문장 한 문장 그분의 고백(분명 그분을 죽음으로 몰고 갈 그 고백)을 전하며 심문을 받으실 동안, 베드로는 매우 치졸한 방식으로 자신의 주님을 부인했습니다. 처음 예수님을 부인합니다. 자기가 예수님을 모른 다고 합니다. 그리고는 “아니오! 나는 그 그룹에 속하지 않소!”라고 강조하기에 이릅니다. 바로 예수님께서 베드로에게 경고했던 것입니다.

세 번의 권능의 용서

또 다른 모닥불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위에 물고기 몇 마리가 있습니다. 제자들은 그 날 밤, 아무것도 잡지 못했지만 다시 한 번 더 물가에 나가 배 밖으로 그물을 던지려고 했습니다. 물가에 있던, 닦달하던 한 남성. 오직 그들만이 부활하신 주님이라 인식했던 그 남성은 다시금 그물을 꽉 채우셨습니다. 그 뒤 그들 모두는 함께 아침 식사를 나누었습니다.

예수님께서 베드로를 따로 한 쪽으로 부르셨습니다. 어쩌면 단 둘이 게네사렛 호수 혹은 다른 이름으로 티베리아스 호수의 물가를 거닐었을지도 모릅니다. 주님께서 그분의 제자께 자신을 사랑하느냐고 세 번이나 여쭈셨습니다. 예수님께서 그렇게 하신 것은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의 제자가 저지른 세 번의 부인이라는 죄책감을 씻어 주기 위해서 그렇게 하신 것입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훨씬 더 많은 것이 있습니다.

사랑의 질

“네가 이 사람들보다 나를 더 사랑하느냐?” 예수님의 첫 번째 질문은 이렇게 번역이 될 수 있습니다. 베드로의 노동의 결실인 물고기에 대해 말씀을 하고 계신다면? 그 답은 ‘예’일 것입니다. 베드로는 다시 한 번 더 자신의 물질적 안정을버릴 준비가 되어 있었습니다. 만일 예수님께서 다른 제자들을 말씀하신 것이라면? 대답은 ‘아닙니다.’가 되었을 것입니다. 베드로는 더 이상 자신이 다른 이보다 높아지는데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자신이 저지른 부인에서 오는 수치심으로, 베드로는 이제 자기 자신을 알게 되었습니다.

“네가 나를 (전적으로, 무조건적으로) 사랑하느냐?” 예수님의 두 번째 질문은 이렇게 표현될 수 있습니다. 베드로는 “내가 주님을 사랑합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이것은 요구되는 것 이상의 또 다른 사랑의 질이었습니다. 그러나 진실했습니다. 베드로는 두 번째 질문으로 자신이 이전에 느낀 활기가 주님께 전달되었음을 명확하게 느꼈습니다. 고통 받은 번제물이 아닌 빛나는 영웅이 되었다고 상상했습니다.

마지막 질문에서 예수님께서는 베드로가 한 말과 같은 단어를 사용하셨습니다.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베드로는 한 숨을 쉬고 대답했습니다. “주님, 주님께서는 모든 것을 아십니다.” 세 번의 질문들이 베드로의 마음에 순수하고 진정한 사랑 기반을 형성하기에 다다른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베드로에게 그리스도의 양 떼에 대한 책임감을, 즉 크던 작던, 양 떼를 치고, 보살피고, 보호하라는 임무를, 맡길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바로 이렇게 하신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는가?

요한복음 21장에서 나온 예수님과 베드로의 만남을 오늘 날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줍니까? 매우 간단합니다.

  • 당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할 수 있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오직 당신의 예수님에 대한 진실한 사랑입니다.
  • 자기 자신의 생각과 기대에 부흥해야만 하는 것으로 구원자를 세우게 하는 것은 사랑이 아닙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을 그 자체로 사랑하셨습니다. 그래서 우리도 그분을 그렇게 사랑합니다.
  • 그분께서는 당신의 나약함을 아시고, 당신을 그분의 품에 두고 싶어 하십니다. 우리도 이와 같이 우리의 나약함을 인식합시다. 왜냐하면 이 나약함을 넘어서 우리는 마음의 기반에 다다를 것입니다. 진정한 사랑을 발견할 수 있는 그 마음의 기반으로!

어쩌면 요한1서 4:16절에 정리된 것처럼 “하나님은 사랑이십니다. 사랑 안에 있는 사람은 하나님 안에 있고 하나님도 그 사람 안에 계십니다.”

<영어원문 참조 : http://nac.today/en/158033/479350 >

 

Filed Under: 새로운 소식

© Copyright 2012 New Apostolic Church Korea. All Right Reserves.